-
PER·PBR 지표 쉽게 이해하기 – 주식 초보도 5분 만에 끝내는 투자 지표 공부금융 2025. 4. 28. 13:02
“아...진짜..PER? PBR? 이거 다 뭐야... 어렵다...”
사실 PER·PBR은 어려운 전문용어가 아니라,
회사를 얼마나 싸게 사는지 판단하는 기본 도구예요.
오늘은 금융초보도 단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진짜 쉽게 설명해볼게요.1.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1) PER 정의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PER은 "이 회사가 1년에 버는 돈 대비 주가가 몇 배냐"를 나타내요.
- 쉽게 말하면,
"이 회사의 이익에 비해 주식 가격이 비싼가, 싼가" 보는 지표에요.
2) 예시로 이해하기
- A회사의 주가: 50,000원
- A회사의 1년 이익(주당): 5,000원
▶ PER = 50,000 ÷ 5,000 = 10배
이 뜻은?
"A회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주가가 10년 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거예요.2.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
1) PBR 정의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PBR은 "이 회사의 순수 자산(부채 빼고) 대비 주가가 몇 배냐"를 나타내요.
- 쉽게 말하면,
"회사 해체하고 재산 나누면 받을 수 있는 돈"과 비교하는 거예요.
2) 예시로 이해하기
- B회사의 주가: 30,000원
- B회사의 주당순자산(BPS): 15,000원
▶ PBR = 30,000 ÷ 15,000 = 2배
이 뜻은?
"B회사의 순자산 가치보다 2배 비싸게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거예요.3. PER·PBR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지표 의미 해석 방 PER이 낮다 주가가 이익 대비 싸다 성장성도 함께 체크 필요 PER이 높다 이익 대비 주가가 비싸다 미래 성장 기대 가능성 PBR이 1 미만 자산 가치보다 싸게 거래 저평가 가능성 PBR이 높다 자산 대비 주가가 고평가 브랜드, 성장 기대 반영 4. PER·PBR, 꼭 단독으로 보면 안 되는 이유
- PER 낮다고 무조건 좋은 기업 X
→ 이익이 줄어드는 회사일 수 있어요. - PBR 1 이하라고 무조건 저평가 X
→ 부실기업일 수도 있어요.
▶ 항상 성장성, 부채비율, 산업 전망과 같이 함께 분석해야 해요!
5. 진짜 실전 투자 팁
- PER·PBR은 ‘가치 평가의 출발점’일 뿐이에요.
- 하나만 보고 투자 결정하면 안 되고,
- "왜 이 수치가 나왔을까?" 생각해보는 습관이 중요해요.
주식은 싸게 사는 게 정답이 아니라, 좋은 회사를 좋은 가격에 사는 것이 진짜 핵심입니다.
6. 오늘 내용 요약
항목 설명 PER 이익 대비 주가 (수익성 기준 평가) PBR 자산 대비 주가 (순자산 기준 평가) 활용법 저평가 여부 판단 + 성장성/부채율과 함께 분석 주의점 단순 수치만 보지 말고, 회사 미래를 함께 고려할 것 반응형'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란? 금융 초보도 3분 만에 이해하는 진짜 쉬운 설명 (0) 2025.04.25 2030 세대를 위한 돈 관리 앱 BEST 5 – 진짜 써본 후기 기반 추천 (0) 2025.04.22 2025년 전세 자금 대출 완전 정리 – 조건, 한도, 은행별 꿀팁까지! (0) 2025.04.21 CMA 통장 추천 & 활용 방법 – 재테크의 첫걸음은 ‘이 통장’부터! (0) 2025.04.18 체크카드 vs 신용카드 – 차이와 기준, 당신에게 맞는 선택은? (0) 2025.04.17 마이너스 통장의 함정과 올바른 사용법 – 지금 신청해도 괜찮을까? (0) 2025.04.16 금융사기 피하는 법 – 실전 사례로 알아보는 생존 가이드 (2025 최신판) (0) 2025.04.15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타이밍 (2025 최신 가이드) (0) 2025.04.11